국민연금 예상수령액
일반 직장인들은 매달 국민연금을 내고 있습니다. 처음 직장에 다닐 때는 안 그래도 늘 부족한 게 월급인데 실 수령액을 보고 매번 답답해했던 기억이 있습니다. 그런데 한 번씩은 내가 나중에 연금을 얼마를 받을 수 있을까 궁금하기는 합니다. 그럼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얼마나 되는지 알아봅시다.
국민연금이란
국민으로서 더 이상 소득획득능력이 떨어졌을 때 국가가 생활보장을 위해 정기적으로 지급하는 금액입니다. 물론 이 국민연금을 받기 위해선 자기 소득의 일정 금액을 꾸준히 납부해야만 합니다.
국민연금 급여 종류별 수급자격과 급여기준
국민연금 급여의 종류에는 노령연금, 장애연금, 유족연금, 반환일시금으로 볼 수 있습니다. 거기서 노령연금은 완전 노령 , 감액 노령 , 재직자 노령, 조기 노령, 분할 연금으로 세분화할 수 있습니다. 국민연금 수령액이 궁금하시다면 우선 본인이 어떤 급여 종류에 포함되어 계신지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.
급여 종류 |
수급자격 |
급여 수준 |
|
노령연금 |
완전 노령 |
20년 이상 가입 60세에 달한 자 |
기본 연금액의 100% |
감액 노령 |
101년 이상 20년 미만 가입한 자로 60세가 된 때부터 |
기본연금액의 50% |
|
재직자 노령 |
10년 이상 가입 , 60세 이상 65세 |
수급권자의 연령별로 |
|
조기노령 |
10년 이상 가입, 또는 가입했던 자로 55세 이상인 자가 소득이 없는 경우 |
기본 연금액의 70~94% |
|
분할연금 |
혼인기간이 5년 이상인 자 중 |
배우자였던 자의 노령연금액 중 |
|
장애연금 |
가입 중 질병, 부상으로 인하여 |
장애등급 1급, 2급, 3급, 4급에 장애등급 1급에 다해여는 기본연금액에 부양가족 연금액을 더한 금액 |
|
유족연금 |
1년 이상 가입자, 10년 이상 가입자였던 자, 노령 연금 수급권자, 장애연금(2급 이상) 수급권자가 사망할 때 |
가입 기간에 따라 기본 연금액의 40~60% + 부양가족 연금액 |
|
반환일시금 |
가입기간이 10년 미만인 자가 60세가 된 때 가입자 또는 가입자였던 자가 사망한 경우(단 유족 연금이 지급되지 아니한 경우) |
가입자 또는 가입자였던 자가 납부한 연금보험료(사업장 가입자의 경우 사용자의 부담금 포함)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이자(정기예금 이자율)를 더한 금액 |
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조회
포털 검색창에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이라고 검색하시면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안에 내 연금 알아보기 페이지가 자동으로 연결됩니다. 그럼 아래와 같이 인증이 필요 없이 국민연금을 모의 계산하는 방법과 공인인증 후 국민연금을 조회할 수 있는 방법 두 가지가 있습니다. 두 가지 중 원하시는 예상 연금 모의계산 방법을 선택하신 후 다음 절차를 따르면 되겠습니다.
인증 없이 간단하게 예상 수령액을 조회해보실 수도 있지만 공인인증으로 예상 연금 금액을 조회하는 것이 더 정확한 금액을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.
국민연금 많이 받는 법
말장난 같지만 쉽게 말해 더 많이 내시면 됩니다. 말 그대로 자발적으로 국민 연금 가입기간을 연장하여 더 납부한 뒤 차후에 국민 연금을 더 받는 것입니다. 지금 내가 어느 정도 가계에 무리가 없을 만큼 유지가 가능하신 상황이라면 여유가 있을 때 조금 더 내고 나중에 더 받는 것입니다. 그리고 그것 외에도 각 상황마다 다른 혜택 상황이 있는데 이 자격요건이 되시는 지도 꼭 확인해보시면 많은 도움이 되시리라 생각합니다.
- 임의가입이라는 제도가 있습니다. 의무 가입대상에서 제외되었음에도 국민연금공단에 우편, 팩스. 전화 등으로 연장 신청이 가능합니다.
- 임의계속 가입제도를 활용하시면 의무가입 기간이 끝난 60대 이후에 보험료를 추가로 납부하는 방법입니다.
- 연기연금제도라는 것을 통해서 받을 시기가 되었지만 연금 수령을 더 늦춰 받는 것입니다. 수령시기를 연기하시게 되면 1개월마다 0.6% 씩 연장 가능하시며 1년 7.2 % 연장 가능합니다. 물론 무한정으로 늘릴 수는 없고 최대 5년까지 연장 가능하시며 최대 36%까지 가산하실 수 있습니다.
-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행위에 대한 보상으로 크레디트 제도가 있습니다. 이 크레딧 제도는 금민연금을 납부 안하셨어도 일정기간만큼 인정해주는 제도입니다. 크레딧 제도에 포함되는 사회적 활동은 출산, 군 복무, 실업 있습니다. 출산과 군 복무는 기간으로 인정해주며 실업은 일정 비용을 지원해줍니다.
- 추가납입제도를 활용하여 사업 중단, 실직, 결혼, 휴직 등으로 연금 납입을 못했던 기간이 있을 시 추후에 납입을 하심으로써 가입기간 혹은 수령액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.
'일반상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우체국 택배 보내는 법 (0) | 2021.03.20 |
---|---|
내로남불 사자성어 무슨 뜻일까요 (0) | 2021.03.19 |
기아 ev6 출시일과 가격 완전 내 스타일 (0) | 2021.03.18 |
대상포진 전염성 알고 계셨나요? (0) | 2021.03.18 |
가스라이팅 예시 주위에 이런 사람을 조심하세요 (0) | 2021.03.18 |
댓글